농사를 짓기 전 구입할 씨앗의 구분과 구입법, 보관법을 알려드립니다. 씨앗은 종류에 따라서 파종 시기와 심는 방법이 다르고 발아하고 생육하는데도 각각의 정해진 수명이 있습니다. 구입 시 어떤 부분을 확인해야 되는지 그리고 보관은 어떻게 하면 좋을지 같이 확인하시겠습니다.
씨앗 구분
농사에서 흙과 함께 씨앗 준비가 중요하다. 씨앗을 종자라고도 하며 3가지로 구분합니다. 고정종자는 수확한 작물에서 씨를 받아서 파종하면 똑같은 작물이 나온다. 그러나 수확량과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종류로는 조선오이, 쪽파 등 일부만 볼 수 있다. 영양종자는 작물의 일부가 씨앗의 역할을 하며 일부를 적당량 잘라서 파종이 가능하다. 예로서 감자, 토란, 마늘, 야콘 등이 포함된다. 개량종자는 수확량과 품질을 상승시킬 목적으로 우수한 형질의 종자를 교배하여 인위적으로 만들며 종묘상에서 파는 씨앗이 대부분 개량된 것이다. 재배 후 씨를 받아서 다시 심을 수 있지만 계대가 될수록 품질과 수확되는 개체가 감소된다. 그중 F1종자가 있으며 대부분 일회용 씨앗이다. 예로 배추와 옥수수에 많으며 최근에는 싹초자 안 트게 만드는 기술도 나왔습니다. 빛의 필요 여부에 따라서도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광발아종자는 빛을 필요로 하는 종자로 상추, 양배추, 딸기, 당근, 비타민 등이 있으며 씨앗이 가볍고 작아서 파종한 다음 흙을 조금만 덮어야 한다. 암발아종자는 빛이 필요하지 않은 씨앗으로 대부분이 여기에 속하며 토마토, 가지, 오이 등의 식물이 있다.
구입법
종자는 대부분 종묘상이나 인터넷 또는 지역농협 구매계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씨앗을 사면 뒷면의 재배 정보를 확인해야한다. 작물의 파종시기, 재배 정보가 표시되어 있어서 종자를 심을 때 발아 후 어떤 모양이 확인되는지 어떤 시기에 심어야 좋은지 확인 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봉투에 채종한 종자 일자를 표시한 포장일자와 발아를 보증하는 시한이 적혀 있다. 되도록이면 올해 포장된 것을 구입하는 것이 좋다. 씨앗을 오랫동안 방치한 후 사용하면 발아율이 떨어지고 작물 생육에 문제가 생긴다. 예로서 대두콩을 구입하여 3년 동안은 쓰려고 많이 구입했다. 그러나 몇 해 안 가서 대두콩이 새싹이 자라는 개체가 이전보다 많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때부터 조금씩 키울 만큼만 사게 되었다. 종자를 파종할 때 씨앗을 보면 작물마다 파란색, 빨간색 등으로 다르게 표시되어 있다. 이는 종자소독을 했다는 표시로 전염되는 병해충을 사전에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 농사하실 때 씨앗을 직접 심으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육묘장에서 종자를 사서 육묘까지 키운 다음 농지나 종묘상에 팔고 있다. 집에서 계속 농사를 지으시는 분들은 채종을 하는 경우도 있다. 작물이 열매를 맺어 성숙한 종자를 받아 건조한다. 완숙기 이후로는 발아력이 감소하여 채종 시점을 잘 정하여 수확해야 한다.
보관법
파종 시기까지는 발아가 잘 되도록 보관을 해야한다. 구입한 씨앗은 수분과 공기를 차단하여 밀폐된 상태로 보관해야 한다. 채종한 씨앗은 수분이 남아있어서 충분히 건조시키고 밀폐한 상태로 보관해야 한다. 씨앗은 상온에서 보관할 시 수명에 따라 구분된다. 단명종자는 수명이 1~2년이고 파, 당근, 땅콩 등이 이에 해당한다. 중명종자는 수명이 2~3년이고 상추, 고추, 양배추, 시금치 등이 이에 해당한다. 장명종자는 4에서 6년동안 수명이 유지되고 가지, 토마토 등이 이에 포함된다. 저온에서 온도 변화가 적을 때 수명이 연장되며 0에서 10℃에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다. 장기적으로 보관할 때는 0℃ 이하에서도 보관이 가능하다. 하지만 영하 20℃ 에서 보관 시에는 수분함량이 많으면 발아력이 많이 감소될 수 있다. 파종 후 남은 씨앗은 포장지 내 공기를 충분히 빼낸 후 테이프로 밀봉과 함께 비닐 봉지에 넣고 냉장고에 보관하면 일정 시간 발아율이 유지될 수 있다. 농촌진흥청 홈페이지인 농사로에서는 종자 보관에 대한 현장기술을 친절하게 답변해 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작물의 품종에 따라 각각의 이름이 있다. 같은 작물이더라도 다른 이름을 갖고 있다면 농사로에서 품종정보 통합서비스를 활용하면 품종에 대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주소는 아래 표시된 곳으로 이동하면 된다.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a/psab/psabf/spciesRsrchLst.ps?menuId=PS65425